본문내용 바로가기




주요추진사업

  1. 인천도시공사
  2. 사업정보 > 도시재생사업
  3. 주요추진사업
페이지 인쇄

산업단지 관리사업

산업단지의 체계적 관리를 통해 입주기업의 경쟁력을 제공하고 궁극적으로 산업단지 내 구조고도화 및 재생사업을 통한 산업단지 활성화를 도모합니다.

개요

사진을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인천관내 일반산업단지 현황

인천관내 일반산업단지 현황을 관리주체, 명칭, 위치, 지정일자, 관리기관으로 나누어 정리한 표
관리주체 명칭 위치 지정일자 관리기관
공공 인천지방산업단지 인천시 미추홀구 도화동, 서구 가좌동 일원 1973. 4. 인천도시공사
강화하점산업단지 인천시 강화군 하점면 부근리 300번지 일원 1992. 8. 강화군청 경제교통과
청라1지구일반산업단지 인천시 서구 경서동 673번지 일원 1997. 8. 서구청 기업지원과
송도지식정보산업단지 인천시 연수구 송도동(송도국제도시 2,4공구내) 2000. 9. 인천경제자유구역청 도시건축과
IHP도시첨단산업단지 인천시 서구 파랑로 460(청라동) 일대 2003. 8. 인천경제자유구역청 도시건축과
서운일반산업단지 인천시 계양구 서운산단로8길 12 일대 2015. 3. 계양구청 공영개발과
I-Food Park 산업단지 인천시 서구 금곡동 457번지 일대 2016. 4. 서구청 검단출장소
민간 인천기계산업단지 인천시 미추홀구 도화동, 서구 가좌동 일원 1967.11. 인천기계산업단지관리공단
인천서부산업단지 인천시 서구 경서동 일원 1992. 7. 인천서부지방산업단지관리공단
검단일반산업단지 인천시 서구 오류동 일대 2006.12. 검단일반산업단지관리공단
강화일반산업단지 인천시 강화군 강화읍 옥림리ㆍ월곳리 일원 2009. 2. 강화일반산업단지관리공단

※ 상세한 현황자료는 https://www.incheon.go.kr/eco/ECO010613 참조

  • 인천광역시 산업단지 유형별 현황도

    인천광역시 산업단지 유형별 현황도

인천지방산업단지 관리・운영 (관리기관 : 인천도시공사)

1. 개 요
  • 위치 : 인천 서구 가좌동, 미추홀구 도화동 일원(인천지방산업단지)
  • 면적 : 1,139,269㎡
  • 사업기간 : 2020. 3. ∼ 인천시 위수탁 종료시까지
2. 추진현황
  • 1973. 4. : 인천지방산업단지 지정
  • 1982.10. : 관리업무 위탁(市→관리공단)
  • 2019. 3. : 관리업무 이관(관리공단→市)
  • 2019.12. : 관리업무 위탁에 관한 협약서(안) 체결 (市-公社)
  • 2020. 3. : 관리기관(변경) 및 업무내용 고시
  • 2020. 5. : 관리기관 현장사무실 개설
  • 2021.11. : 스마트 산단관리시스템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착수
3. 위치도
  • 위치도

    위치도

  • 용도별 구역 현황도

    용도별 구역 현황도

4. 관리 및 운영 방향
  • 산업단지 체계적 관리를 통한 입주기업의 경쟁력 제고 및 경영환경 개선
  • 산업단지 내 구조고도화 및 재생사업을 통한 산업단지 활성화 도모
  • 미래기술과 연계한 관리시스템 구축 및 관리대상 확대 모색
  • 물리적 재생사업보다는 산업단지 체계적 관리를 통한 기업경영 및 근로환경 개선 및 경쟁력 강화 유도
5. 세부 현황 (2021년 4분기 기준)
  • 용도별 구획 면적
    용도별 구획 면적
    총 면 적 산업시설 구역 지원시설 구역 공공시설 구역 녹지구역
    1,136,269 1,001,046 327 134,896 -
  • 산업시설 구역 세부 용도
    산업시설 구역 세부 용도
    공장시설 용도 지식산업 시설용도 정보통신 산업시설용도 자원비축 시설용도 물류시설 용도 공장 및 물류시설용도 공장 및 전력 시설용도
    764,770.3 - - - 45,985 162,184.5 28,106.2
  • 업종별 입주현황
    업종별 입주현황
    입주기업체수(개사) 업종별 입주업체 현황(개사) 비 고
    제조업 비제조업 음식료 목재종이 석유화학 철강 기계 전기전자 기타
    578 532 46 19 13 54 16 225 116 135  
6. 관리 및 운영 내용
관리 및 운영 내용을 기간, 내용, 비고로 나누어 정리한 표
기 간 내 용 비 고
2020. ~ 2021.
  • 산업단지관리 및 재생기반 환경조성에 기초하여 산업단지 현황분석, 입주기업 행정업무, 관리기본계획 수립 등 사무업무 위주로 사업 진행
  • 입주기업체 및 관리기관 네트워크 구축
  • 원활한 현장관리 추진을 위해 관리인력 증원
 
2022. ~ 2024.
  • 기업경영 및 근로환경 개선사업 추진
  • 환경개선사업, 기업・근로자 지원사업 등 추진(정부 및 지자체 지원사업)
  • 문화예술교육, 기숙사・통근버스 임차사업 등 추진(근로자 지원사업)
  • 산재예방시설 지원, 특성화 안전교육 진행(근로환경 개선사업)
  • 스마트 산단관리시스템 구축
 
2025. 이후
  • 산업단지 환경 개선 재생사업 유도
  • 정부 공모사업(혁신지원센터, 복합문화센터 건립)을 통한 편의시설 확충 및 산업단지 거리조성사업, 기반시설 설치 등 산업단지 환경 개선
 
7. 스마트 산단관리시스템 구축
  • 추진 방향
    • 인천 관내 타 일반산업단지의 체계적이며 효율적인 관리 및 운영
    • 인천 관내 타 일반산업단지 여건을 고려한 수요자 중심의 스마트 산단관리시스템 구축 및 보급
  • 추진 계획
    • 1단계(스마트 산단관리시스템 구축, 2023년) : 인천 지방산업단지 관리·운영에 시범 적용
    • 2단계(스마트 산단관리시스템 고도화, 2025년) : 인천 관내 타 일반산업단지 확대대비 시스템 고도화, 새로운 IT 기술 시스템 접목(모바일, 빅데이터 활용, 디지털 트윈 등)
8. 기대 효과
  • 지역경제 기여
    • 산업단지의 효율적인 관리를 통해 입주 업체들의 생산성 및 경쟁력 강화
    • 산업단지 내 구조고도화 및 재생사업을 통해 산업단지 및 지역경제 활성화
  • 인천시 정책 수행
    • 역량있는 전문 산업단지관리기관으로서 맞춤형 입주기업 서비스 제공 가능
  • 시민의 복리증진
    • 산업단지 활성화를 통해 궁극적으로 지역 일자리 창출 기여
9. 향후 계획
  • 2022. : 코로나19 방역 지원활동, 산자부 및 인천시 주관 기업지원 프로그램 홍보
  • 2023. : 스마트 산단관리시스템 구축 및 시스템을 통한 입주기업 맞춤형 서비스 제공
10. 첨부

재생사업처 재생사업1부 최재정 ☎ 032-260-5066

개발방향

  • 산업단지 체계적 관리를 통한 입주기업의 경쟁력 제고 및 경영환경 개선합니다.
  • 산업단지 내 구조고도화 및 재생사업을 통한 산업단지 활성화를 도모합니다.
  • 미래기술과 연계한 관리시스템 구축 및 관리대상을 확대 모색합니다.
  • 물리적 재생사업보다는 산업단지 체계적 관리를 통한 기업경영 및 근로환경 개선, 경쟁력 강화를 유도합니다.

목록보기

IMCD NEWS

공지사항

IMCD STORY

카드뉴스

CUSTOMER CENTER

고객서비스

SEARCH FOR EMPLOYEE

부서/직원찾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