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개요
	
	사업개요
	- 사 업 명 : 인천광역시 주거취약계층 주거상향 지원사업
 
	- 사업방식 : 보조금사업(인천광역시 → 인천도시공사(사업수행기관))
 
	- 사업기간 : 2021. ~ 계속
 
	- 사업예산 : 200백만원/1년(국비 50% / 시비 50%)
 
	- 대상지역 : 인천시 관내 주거취약계층
 
	- 사업목표 : 120세대/1년 이주 및 정착지원
 
사업대상자 현황
	사업대상자 현황을 구분, 합계, 쪽방, 고시원, 여관여린숙, 반지하로 나누어 정리한 표
	
		
			| 구 분 | 
			쪽 방 | 
			비닐하우스 | 
			고시원 | 
			여관여인숙 | 
			기타(반지하) | 
		
		
			| 대상자 | 
			1,875 | 
			220 | 
			26 | 
			99 | 
			60 | 
			1,470 | 
		
		
			| 사업목표 | 
			120 | 
			30 | 
			3 | 
			13 | 
			19 | 
			55 | 
		
	
 
사업연혁
	- 2017.11.
 
	- 주거복지로드맵 발표
 
	- 2020.01.
 
	- 2020년 비주택거주자 주거상향지원사업 추진(국토교통부)
 
	- 2020.01.
 
	- 쪽방?비주택 등 주거지원 강화 대책 수립(인천시)
 
	- 2020.03.
 
	- 정부, 주거복지로드맵 2.0 발표
 
	- 2020.04.
 
	- 2020년 비주택거주자 주거상향지원사업 업무협약 체결(미추홀구↔공사)
 
	- 2020.07.
 
	- 비주택 이주지원상담소 운영
 
	- 2020.10.
 
	- 비주택 거주자를 위한 특화사업 추진
 
	- 2020.12.
 
	- 주거취약계층 주거상향 지원사업 공모
 
	- 2021.01.
 
	- 사업추진기관 선정?통보
 
	- 2021.01.
 
	- 2021년 주거취약계층 주거상향 지원사업계획수립
 
	- 2021.05.
 
	- 지원주택 임대조건 결정 및 임시거처 운영계획 수립
 
	- 2021.06.
 
	- 2021년 주거취약계층 주거상향지원사업 특화사업 운영계획 수립
 
	- 2021.12.
 
	- 주거취약계층 주거상향 지원사업 공모
 
	- 2022.03.
 
	- 사업추진기관 선정·통보
 
	- 2022.04.
 
	- 2022년 주거취약계층 주거상향 지원사업 계획수립
 
	- 2022.04.
 
	- 2022년 주거취약계층 주거상향 지원사업 업무협약 체결(인천시↔공사)
 
	- 2022.04.
 
	- 전문상담사 채용
 
	- 2022.05.
 
	- 주거취약계층 이주지원 상담소 운영
 
	- 2022.06.
 
	- 주거취약계층 거주자를 위한 특화사업 운영계획 수립
 
	- 2022.12.
 
	- 주거취약계층 주거상향 지원사업 공모
 
	- 2023.02.
 
	- 사업추진기관 선정 • 통보
 
	- 2023.02.
 
	- 2023년 주거취약계층 주거상향 지원사업 계획수립
 
	- 2023.02.
 
	- 2023년 주거취약계층 주거상향 지원사업 업무협약 체결(인천시↔iH)
 
	- 2023.03.
 
	- 전문상담사 채용 및 이주지원 상담소 운영 개시
 
	- 2023.12.
 
	- 주거취약계층 주거상향 지원사업 공모
 
	- 2024.02.
 
	- 사업추진기관 선정·통보
 
	- 2024.02.
 
	- 2023년 주거취약계층 주거상향 지원사업 업무협약 체결(인천시↔iH)
 
	- 2024.03.
 
	- 전문상담사 채용 및 이주지원 상담소 운영 개시
 
	- 2024.12.
 
	- 주거취약계층 주거상향 지원사업 공모
 
 
사업 특장점
	- 국토교통부 공모사업으로 비주택(쪽방, 여인숙, 고시원, 여관 등) 및 반지하 거주자의 공공임대주택으로 주거이주 및 정착지원을 위한 사업입니다.
 
	- 비주택 거주자 발굴, 상담, 주거이전, 정착지원, 공동체 활성화 사업추진을 통해 주거취약계층의 주거안정에 기여합니다.
 
	- 주거이전 후 재정착할 수 있도록 심리 및 건강상담, 일자리 지원, 자활지원 등 밀착생활캐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주거만족도를 제고합니다.
 
 
기대효과
	- 지역발전 측면
	
		- 주거취약계층 주거자립 및 생활지원을 통한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 인천시 정책 수행 측면
	
		- 주거취약계층 주거상향 지원사업 참여를 통한 정부 및 인천시 정책사업 추진
 
	
	 
	- 주거복지 측면
	
		- 임대주택 정보에 취약한 주거취약계층을 직접 발굴, 상담하여 주거상향 시킴으로 주거복지 향상에 기여
 
	
	 
	- 시민의 복리증진 측면
	
		- 비주택 및 반지하 거주자의 주거환경 및 생활환경 개선을 통한 주거취약계층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
 
	
	 
 
 
	목록보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