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주요추진사업

  1. HOME
  2. 사업정보
  3. 도시재생사업
  4. 주요추진사업
페이지 인쇄

더샵 부평센트럴시티 주택건설사업

개요

사업개요

  1. 위치 : 부평구 십정동 216번지 일원
  2. 사업기간 : 2007. ~ 2022.
  3. 사업규모 : 지하2층 ~ 지상49층, 총 28개동
  4. 공급규모 : 5,678세대
    • 토지등소유자 1,550세대, 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 3,578세대
    • 영구임대 300세대, 공공임대 250세대
  5. 사업방식 :관리처분방식(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연계형 주거환경개선사업)
  6. 사업일정 : 공동주택 건설공사 착공2018. 11. 준공(예정)2022. 4.

사업연혁(추진현황)

2007. 2.
정비계획수립 및 정비구역 지정고시(LH)
2009. 11. 6
사업시행 인가고시(LH)
2015. 12. 28
사업자 시행 변경지정(LH→iH)
2016. 6. 19
시공사 선정(포스코건설)
2017. 3. 8
관리처분계획인가
2017. 5. 23
이주 개시
2017. 6.
철거 공사 착수
2018. 11. 1
철거 완료 및 건축 공사 착공

개발방향

기본방향

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 연계형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선도적 사업모델로서, 낙후된 구도심의 주거환경 개선과 서민의 주거생활 안전을 위한 실용적인 중소형 공동주택의 공급과 주변 도로시설 정비, 공원조성 등 도시기반시설 정비로 정주여건 향상을 통한 구도심 재생의 마중물 역할 수행

주요 사업내용

더샵 부평센트럴시티 주택건설사업은 부평구 십정동 216번지 일대 193,384㎡에 이르는 주거환경개선사업으로서, 분양주택 및 공공임대주택 건설, 공원 등 도시 기반 시설을 건설하는 사업입니다.

공동주택 건설세대는 5,678세대이고, 이중 원주민(토지등소유자) 우선 공급분 1,550세대, 구역 내 거주하였던 세입자에게 우선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 및 영구임대주택 550세대, 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 3,578세대입니다. 공동주택 평형은 전용면적 18㎡ ~ 84㎡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018년 11월 공동주택 건설공사를 착공하여, 2022년 4월 공동주택 건설공사 준공 후 2022년 5월부터 입주 개시할 계획입니다. 임대사업자의 민간임대주택 임대의무기간은 2030년까지입니다.

기대효과(파급효과)

지역발전 측면
  • 원도심에 낙후된 정비기반시설을 정비하고, 주거환경을 정비하여 지역에 활력을 더하며, 지역의 균형발전에 기여
인천시 정책 수행 측면
  • 인천시의 불균형한 도심간의 균형발전을 실현하기 위한 사업 중 하나로서 원주민의 재정착률을 높이고, 민선7기 시정목표인‘더불어 잘 사는 균형발전’수행
  • 에너지 제로화 단계별 추진(공동주택 LED 조명, 태양광발전설비, 전기자동차충전설비 등)하여 민선7기 시정 전략인‘건강한 시민, 쾌적한 생활환경’수행
주거복지 측면
  • 공공 및 영구임대의 공급을 통해 소외된 계층에 주거혜택을 제공하며, 토지등 소유자에게도 고품질 공동주택을 건설하여 주거환경개선에 기여
  • 기업형임대주택의 공급을 통해 중산층에게 고품질의 임대주택으로 주거안정 도모
  • 그린 인프라 구축(절수형 세면기, 우수 재활용 물재생 시스템, 폐열회수형 환기 시스템, 우수 침투성 포장재)을 통하여 환경과 입주민들의 자원 절약 기여
시민의 복리증진 측면
  • 소외되고 있었던 원도심을 개발하여 신도심과의 격차를 줄여 더불어 잘사는 균형 발전에 기여
  • 인천의 시정슬로건인 ‘살고 싶은 도시 함께 만드는 인천’을 실현해 인천시민 모두에 복리 증진

향후계획

2022. 4. 30.
준공인가 (예정)
2022. 5. 10. ~ 8. 8.
입주지정기간

더샵 부평센트럴시티 관련 사이트

지역 특성

지역 특성을 건축물 용도 현황도와 건축물 용도 현황표로 나누어 정리한 표입니다.
건축물 용도 현황도 건축물 용도 현황
건축물 용도 현황도
건축물 용도 현황을 구분, 계, 허가유무, 용도별 허가유무, 비고로 나누어 정리한 표
구 분 허가유무 용도별 허가유무 비 고
주거용 비주거 ㆍ 복합용
유허가 무허가 소계 유허가 무허가 소계 유허가 무허가
동수
(동)
1,488 1,228 260 974 766 208 514 462 52 -
호수
(동)
1,565 1,305 260 1,051 843 208 514 462 52 -

* 정비구역지정(변경) 신청서(2차)

지역 특성을 건축물 노후도 현황도와 건축물 노후도 현황표로 나누어 정리한 표입니다.
건축물 노후도 현황도 건축물 노후도 현황
건축물 노후도 현황도
건축물 노후도 현황을 구분, 노후ㆍ불량건축물 산정, 비고로 나누어 정리한 표
구 분 노후ㆍ불량건축물 산정 (2015.01.01.기준) 비고
총 건축물
동수 (동)
노후ㆍ불량건축물
동수 (동)
노후ㆍ불량건축물
비율 (%)
합 계 1,242 846 68.1 지정요건 :
50% 이상
공동주택 소 계 28 14 1.1
1983년 이전 - - -
1984~1993년 16 14 1.1
1994년 이후 12 - -
공동주택 외 소 계 1,214 832 67.0
철콘, 강구조 20년 미만 12 - -
20년 이상 ~
40년 미만
94 - -
40년 이상 - - -
기타구조물 20년 미만 16 - -
20년 이상 832 832 67.0
무허가 건축물 (신발생) 260 - -

* 정비구역지정(변경) 신청서(2차)

사업 진행 과정

  • 철거 전 십정동

    철거 전 십정동

  • 전면 철거 후

    전면 철거 후

  • 현재

    현재

사업 진행 과정(정비기반시설)

  • 이규보로-공사전

    이규보로-공사전

  • 이규보로-공사후

    이규보로-공사후

  • 이규보로 도로 확폭(8m→20m)
  • 상∙하수도, 전기∙통신 등 정비기반시설 개선
  • 열우물로-공사전

    열우물로-공사전

  • 열우물로-공사후

    열우물로-공사후

  • 열우물로 도로 확폭(26~30m→35~36m)
  • 전선 지중화, 열선 시공 및 저소음 포장을 통하여 정비기반시설 개선

십정2구역의 어제와 오늘

  • 십정2구역의 어제와 오늘. 지도이미지

    십정2구역의 어제와 오늘. 1947, 1967, 1985, 2010년 항공사진

    열 개가 넘는 우물이 있다고 하여 ‘열우물 마을’이라 불리는 십정동
    조선시대 함봉산 아래에 집성촌이 형성되었고, 그 아래 쪽에 마을이 하나 더 생겼다. 두 마을을 구분하여 상십정(윗여우물 마을), 하십정(아랫열우물마을)이라고 불렀다.

    그러다가 6.25전쟁을 전후하여 유입된 피난미들이 산등성이에 모여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 하나가 더 생겨났다. 이 곳에는 1960년대 도시개발로 발생한 철거민들이 이주하였고, 1970년대 주안공단이 인근에 들어서면서 도시 노동자들이 터를 잡았다.

사람 향기나는 동네

  • 사람 향기나는 동네 사진1

    사람 향기나는 동네 사진2

    달동네가 생겨났을 무렵부터 주민들은 생활 여건 개선을 위하여 힘을 보았다.

    주민들은 마을공동체를 조직하고 활동하면서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마을 곳곳에 주민들의 손길이 닿지 않은 곳이 없었다. 공동체는 마을 아이들을 함께 키워냈다. 어둡고 좁은 골목길의 낡은 벽, 삐뚤빼뚤한 계단, 전신주에 그려진 벽화는 마을의 새 희망이 되었다.

    십정동의 매력은 여러 영화나 드라마에서도 빛을 발하며 영상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십정의 생활유산을 활용한 미술장식품(폴리)

십정의 생활유산을 활용한 미술장식품(폴리)에 관한 표. 수집된 생활유산, 생활유산 사진, 작품이름, 작품사진으로 나누어 정리한 표
수집된 생활유산 일상생활유물 우물 통신주 벽돌 타일
생활유산 사진
작품이름 작품6. TIME 작품 7. Endless
Wisdom#1
작품 8. Endless
Wisdom#2
작품 9. Modern Totem
작품 10. 하늘우물
작품 11. We are Where We are Not_Window
작품 12. We are Where We are Not_Stage
작품 14. Inspire
작품사진


십정2구역에서 수집된 생활유산을 업사이클링하여 미술장식품으로 재창조함으로써 아파트 내 과거의 혼을 곳곳에 남기는 폴리로써의 역할을 하고 있다.

사업시행(변경) 인가 (2022.04.05.)

토지이용계획
토지이용계획을 구분, 면적, 구성비, 비고로 나눈표
구 분 면 적(㎡) 구성비(%) 비 고
193,384.50 100.00  
공동주택용지 소 계 161,812,40 83.70  
공동주택 161,812,40 83.70  
정비기반시설 소 계 26,998.50 13.90  
도 로 15,098.60 7.80  
공 원 9,520.10 4,90 어린이공원 2개소
녹 지 2,379.80 1.20 경관녹지 1개소
종교용지 소 계 4,573.60 2.40  
종교용지 4,573.60 2.40 종교용지 3개소
건축물의 대지면적·건폐율·용적률·높이·용도 등 건축계획
건축물의 대지면적·건폐율·용적률·높이·용도 등 건축계획을 구분, 건축계획내용, 비고로 나눈 표
구 분 건 축 계 획 내 용 비 고
용 도 공동주택(아파트) 및 부대·복리시설  
대지면적 161,812.40㎡  
건축면적 32,755.7609㎡  
연 면 적 755,721.9425㎡  
용 적 률 331.16%  
건 폐 율 20.24%  
건축규모 지하2층∼지상49층  
주차대수 6,366대  
주택의 규모 등 주택건설계획
주택의 규모 등 주택건설계획을 공급유형, 건축세대, 비고로 나눈 표
공급유형 건축세대(전용면적(㎡) 기준) 비 고
합계 18 35 59 69 84  
합계 5,678 463 204 2,557 1,970 484  
분양 및 기업형 임대주택 5,128 39 78 2,557 1,970 484  
임대주택 영구임대 300 240 60 - - -  
공공임대 250 184 66 - - - 10년
정비기반시설 및 공동이용시설 신설계획
  • 도로
    도로를 규모. 기능, 연장, 기점, 종검, 사용형태, 주요결과지, 최초결정일, 비고로 나누어 정리한표
    규 모 기능 연장(m) 기점 종점 사용
    형태
    주요
    경과지
    최 초
    결정일
    비 고
    등급 류별 번호 폭원(m)
    대로 2 35 40~44 주간선
    도로
    3,750 대로2-29 동암역 일반
    도로
    -    
    중로 1 659 20~24 국지
    도로
    567 대2-35 소3-8 일반
    도로
    - 인고
    2016-37호
     
    중로 2 903 15 국지
    도로
    281 중3-36 소2-1 일반
    도로
    - 부평구 고시
    2016-26호
     
  • 녹지
    녹지를 시설명, 시설의 세분, 위치, 면적, 최초 결정일, 비고로 나누어 정리한 표
    시설명 시설의 세분 위 치 면 적(㎡) 최 초
    결정일
    비 고
    녹지 경관 녹지 부평구 십정동
    208-39번지 일원
    2,379.8 인고
    2016-37호
     
  • 공원
    공원을 시설명, 시설의 세분, 위치, 면적, 최초 결정일, 비고로 나누어 정리한 표
    시설명 시설의 세분 위 치 면 적(㎡) 최 초
    결정일
    비 고
    공원 어린이공원 부평구 십정동
    219-175번지 일원
    1,405.3 인고
    2016-37호
     
    공원 어린이공원 부평구 십정동
    436-1번지 일원
    8,114.8 인고
    2007-25호
     

재생사업단 십정사업부 안재경 ☎ 032-260-5507

개발방향


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 연계형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선도적 사업모델로서, 낙후된 구도심의 주거환경 개선과 서민의 주거생활 안전을 위한 실용적인 중소형 공동주택의 공급과 주변 도로시설 정비, 공원조성 및 공공주차장 공급 등 도시기반시설 정비로 정주여건 향상을 통한 구도심 재생의 마중물 역할을 합니다.

목록보기

IMCD NEWS

공지사항

IMCD STORY

카드뉴스

CUSTOMER CENTER

고객서비스

SEARCH FOR EMPLOYEE

부서/직원찾기


TOP